금융경제 정보

사라지는 전세, 늘어나는 월세

정보금융블로그 2025. 4. 16. 09:03
반응형

📉 사라지는 전세, 늘어나는 월세

한때 서민들의 든든한 주거 사다리였던 '전세'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습니다.


최근 발표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, 올해 들어 전월세 거래 중 무려 60% 이상이 월세로 나타났습니다.

 

10명 중 6명이 이제 전세가 아닌 월세를 선택하고 있다는 뜻인데요.


과연 어떤 변화들이 이 흐름을 이끌고 있는 걸까요?

 

사라지는 전세, 늘어나는 월세

 


📌 전세가 줄어드는 이유는?

 

전세 사기 공포

최근 몇 년 간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규모 전세 사기 사건은 세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.

보증금을 떼이거나 깡통 전세로 피해를 입은 사례들이 쏟아지며, 전세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습니다.

 

갭투자 규제 강화

세입자의 전세금을 이용해 집을 사는 갭투자는 이제 더 이상 쉬운 전략이 아닙니다. 정부는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전세 대출 보증 비율을 축소하고 있습니다.
👉 오는 7월부터 HUG와 SG서울보증의 보증 비율이 줄어들고, 수도권은 최대 80%까지 감소할 예정입니다.

 

전세대출 한도 축소 및 금리 상승

보증 비율이 줄면 자연스럽게 전세대출이 어려워지고, 금리도 오르게 됩니다.

결국 세입자 입장에서는 목돈을 마련하기 어려워지고, 월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거죠.

 


💰 월세 비중 60% 돌파, 집값보다 무서운 임대료 상승

전세 대신 월세를 택한 세입자들이 늘면서, 월세 가격도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.

  • 전국 평균 월세: 74만 원 (작년 대비 2만 원 ↑)
  • 수도권 평균 월세: 100만 원 (작년 대비 4만 원 ↑)
  • 전국 월세 가격지수: 103.10 (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)

특히 아파트가 아닌 비아파트 주택에서 월세 비중은 수도권 66.7%, 비수도권은 무려 80%에 달하고 있습니다.

 


📈 전문가들도 "월세 시대는 더 강화될 것"

KB연구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,

  • 부동산 전문가의 78%
  • 공인중개사의 56%
    는 앞으로 월세 거래 비중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

이는 단순한 일시적 변화가 아니라, 주거 패턴 자체가 월세 중심으로 재편되는 신호로 읽힙니다.

 


사라지는 전세, 늘어나는 월세

 

🏠 이제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?

 

✔️ 월세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: 공유주택, 보증금 일부 전환 등 다양한 옵션 검토
✔️ 정부 정책 변화에 주목: 전세 사기 예방 제도, 보증금 보호 방안 등 활용
✔️ 재정계획 꼼꼼히 세우기: DSR 영향 확인, 대출 가능 한도 파악 필수

 

전세의 시대가 저물고, 월세가 일상이 되어가는 지금.


우리는 새로운 주거 트렌드에 적응하고, 똑똑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.

 

 

 

반응형